3장.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

2025. 2. 10. 21:19·정보처리기사/[1과목] 4. 인터페이스 설계

1.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의 개념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는 내외부 시스템이 연계하여 작동할 때 인터페이스별 송수신 방법, 송수신 데이터,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에 대한 내용을 문서로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이다.

  • 인터페이스별로 송수신 방법을 명세화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연계 기술,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 처리 유형, 발생 주기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2. 시스템 연계 기술

시스템 연계 기술은 개발할 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을 연계할 때 사용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 주요 시스템 연계 기술에는 DB Link, API/OPEN API, 연계 솔루션, Socket, Web Service 등이 있다.
    • DB Link : DB에서 제공하는 DB Link 객체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 API/Open API : 송신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에서 데이터를 읽어 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다.
    • 연계 솔루션 : EAI 서버와 송수신 시스템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Client)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 Socket : 서버는 통신을 위한 소켓(Socket)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 시 클라이언트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 Web Service : 웹 서비스(Web Service)에서 WSDL과 UDDI, 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계하는 서비스이다.

3.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은 개발할 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에는 단방향, 동기, 비동기 방식 등이 있다.
    • 단방향 :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만 하고 응답이 없는 방식이다.
    • 동기 :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하고 응답이 올 때까지 대기(Request-Reply) 하는 방식이다.
    • 비동기 :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 응답이 오면 처리하는 방식(Send-Receive, Send-Recieve0Acknowlege, Publish-Subscribe)이다.

4. 인터페이스 처리 유형

인터페이스 처리 유형은 송수신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방식을 의미한다.

  • 업무의 성격과 송수신 데이터 전송량을 고려하여 실시간, 지연 처리, 배치 방식 등으로 구분한다.
    • 실시간 방식 : 사용자가 요청한 내용을 바로 처리해야 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 지연 처리 방식 : 데이터를 매건 단위로 처리할 경우 비용이 많이 발생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 배치 방식 :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5. 인터페이스 발생 주기

인터페이스 발생 주기는 개발할 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 간 송수신 데이터가 전송되어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주기를 의미한다.

  • 인터페이스 발생 주기는 업무의 성격과 송수신 데이터 전송량을 고려하여 매일, 수시, 주 1회 등으로 구분한다.

6. 송수신 방법 명세화

송수신 방법 명세화는 내외부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연계 방식, 통신 및 처리 유형, 발생 주기 등의 송수신 방법을 정의하고 명세를 작성하는 것이다.

  • 연계 방식, 통신 유형, 연계 처리 형태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 시 작성한 아키텍처 정의서를 기반으로 하여 업무 및 데이터의 성격, 연계 데이터 발생 건수, 연계 시스템의 기술 구조, 시스템 간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작성한다.

7. 송수신 데이터 명세화

송수신 데이터 명세화는 내외부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인터페이스 시 필요한 송수신 데이터에 대한 명세를 작성하는 것이다.

  • 인터페이스별로 테이블 정의서와 파일 레이아웃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테이블 또는 파일 단위로 송수신 데이터에 대한 명세를 작성한다.

8.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명세화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명세화는 내외부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인터페이스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식별하고 오류 처리 방안에 대한 명세를 작성하는 것이다.

  • 시스템 및 전송 오류, 연계 프로그램 등에서 정의한 예외 상황 등 대내외 시스템 연계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 상황을 식별하고 분류한다.
  • 오류 상황에 대해 오류 코드, 오류 메시지, 오류 설명, 해결 방법 등을 명세화 한다.

'정보처리기사 > [1과목] 4. 인터페이스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장. 미들웨어 솔루션 명세  (0) 2025.02.10
2장.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0) 2025.02.10
1장.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0) 2025.02.10
'정보처리기사/[1과목] 4. 인터페이스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4장. 미들웨어 솔루션 명세
  • 2장.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 1장.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seong-morning
seong-morning
seong-morning 님의 블로그 입니다.
  • seong-morning
    MilleZoo
    seong-morning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7)
      • 백엔드 (17)
        • NestJS (17)
      • 인프라 (2)
        • Docker & Kubernetes (2)
      • CS (25)
        • 디자인 패턴 (9)
        •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4)
        • 네트워크의 기초 (6)
        • TCP IP 4계층 모델 (2)
        • 네트워크 기기 (4)
      • 정보처리기사 (43)
        • [1과목] 1. 소프트웨어 설계 (10)
        • [1과목] 2. 화면 설계 (5)
        • [1과목] 3. 애플리케이션 설계 (8)
        • [1과목] 4. 인터페이스 설계 (4)
        • [2과목] 1. 데이터 입출력 구현 (6)
        • [2과목] 2. 통합 구현 (3)
        • [2과목] 3.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7)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1
seong-morning
3장.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